여순 반란사건
1948년 10월 19일 제주도 출동을 명받은 국군 14연대의 1대대 인사계 지창수 상사이하 40여명의 좌익 분자들은 반란을 일으켜 세명의 대대장이하 장교 22명 포함해서 40여명의 영내 군인들을 죽이고 미리 내통해둔 여수시내 600여명의 남로당 분자들과 여수를 장악한 이들은 남로당의 비밀 지시로 역시 남로당 비밀조직원이었던 김지회 중위가 지휘권을 잡고 열차편으로 북상해서 같은 비밀 남로당원인 홍순석이 지휘하던 부대가 주둔하고 있던 순천까지도 접수했다. 이들은 국군의 반격으로 10월23일 순천 10월 27일 여수가 탈환된 뒤 대부분 지리산으로 도주해서 공비가 되었다. 지창수는 벌교 토벌 단계에서 일찌감치 전사했고 김지회 홍순석등은 국군의 토벌에 쫓기며 지리산과 덕유산등을 전전하다가 다음해 4월 지리산 입구에서 사살 당했다. 반란군은 며칠 사이에 경찰관 공무원 우익인사들 800여명의 대 학살을 자행했다. 반란군을 토벌한 국군과 경찰들의 보복적 살상도 극심해서 무고한 양민 역시 다수 희생되었다.
이 반란사건을 기회로 국군의 숙정작업이 대대적으로 전개되어서 군내의 좌익계 인사가 대량 검거되고 처형되었다. 6.25 사변이라는 국난을 앞두고 군내에서 좌익계를 소탕해서 다행이었다는 평가도 있으나 좌익 분자들에게 학살당한 우익인사 가족들의 통한이나 국군 소탕전에서 억울하게 죽은 유가족들의 슬픔 역시 지금까지 풀지 못한 민족 갈등으로 남아 있다.
▼인적 끊어진 시가지에 쓰러진 우익인사. 며칠이 지났건만 좌익들 눈이 무서워 아무도 치우지 못했다.
▼반란군에게 억울하게 죽은 우익인사의 주검
▼왼쪽 등을 보이는 자는 토벌여단의 지휘관 송호성.
▼국군의 토벌개시 - 머리의 흰 띠는 반란군과의 구별을 위해서 반란군과 합류해서 아무런 구별의 의미가 없어졌다.
▼사진 설명은 전투막간을 이용해서 훈련을 하는 한국군이라고 했다.
▼주먹밥으로 점심 때우기 ▼사진 설명에 연행되는 좌익분자들이라고 되어있다. 그러나 행색을 보니 토벌 진입전 미리 피해 나오는 가족같다. ▼토벌군의 진압작전 전 방송을 듣고 주민들이 미리 빠져나오고 있다. ▼작전동안 대기하는 주민들의 표정에 불안과 공포가 역력하다 ▼여수 시내수색에서 체포된 통비분자들- 김지회가 지휘하는 ▼여수 탈환후 찍은 사진인 듯 - 국군의 탈환뒤에 여수에 큰 불이 났었다.
▼공비화된 전 14연대 소속 국군들 - 길게 자란 머리를 보니 ▼이것은 여름 사진인데--사진 설명은 통비분자인 어린 학생들이라고 되어 있지만--가운데 녀석은 도망 가려다가 두들겨 맞은듯, 허리띠도 풀려있고
▼국군은 여수 탈환 뒤,여러 곳의 학교운동장에 40세 미만
|
'그때 그시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일교의 창시자인 문선명총재의 90세 생일 축하연 (0) | 2011.08.28 |
---|---|
상사화에 얽힌 애틋한 전설 (0) | 2011.08.27 |
가슴이 찡한 검정 고무신 (0) | 2011.08.23 |
김서정이 작곡하고 이정숙이 노래한 "강남달" (0) | 2011.08.22 |
노태우 회고록 파문 ‘YS에 직격탄’ (0) | 2011.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