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我無蛙人生之恨 有我無蛙人生之恨 "나는 있으나 개구리가 없는게 인생의 한이다" 란 뜻입니다. 고려 고종 때 유명한 학자인 이규보(李奎報)선생께서 몇 번의 과거에 낙방하고 초야에 묻혀살 때 집 대문에 붙였던 글입니다. [이 글에 대한 유래] 임금이 하루는 단독으로 야행을 나갔다가 깊은 산중에서 날이 저물었.. 삶의 지혜와 지식 2011.02.11
어머니의 사랑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선물 한 어머니가 처음으로 학부모 회의에 참석했을 때, 유치원 교사가 말해주었다. "아드님한테 다동증(多動症) 증상이 있는 것 같아요. 자리에 앉아서 채 3분도 견디지 못하는 걸요. 병원에 한번 가보는 게 좋을 것 같네요."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아들이 어머니에게 물었다. "오.. 삶의 지혜와 지식 2011.02.11
청다리 “다리 밑에서 주워왔다” 는 말의 유래 요사이는 별로 쓰지 않는 말이지만 수 십 년 전만 해도 어른들이 아이들을 놀릴 때 너는 다리 밑에서 주워왔고, 너를 낳은 엄마는 지금도 다리 밑에서 예쁜 옷과 맛있는 음식을 해놓고 울면서 너를 기다리고 있다고 하면, 처음에는 믿지 않던 아이들도 정색을 .. 삶의 지혜와 지식 2011.02.11
我田 引水式 俗言 我田 引水式 俗言 며느리가 부부싸움을 하면 여자가 참아야 한다 하고 딸이 부부싸움을 하면 남편이라도 따질 건 따져야 한다. 며느리에게는 시집을 왔으니 이 집 풍속을 따라야 한다. 딸에게는 시집가더라도 자기 생활을 가져야 한다. 며느리가 친정 부모한테 주는 용돈은 남편 몰래 빼돌린 것이고, .. 삶의 지혜와 지식 2011.02.08
경주향교 명륜당에서 제례교육 2101년 12월 9일 경주향교 명륜당에서 전통예절교육생들을 위한 교육생들에 의한 제례 시연회가 열렸다. 제수를 제단으로 제수를 진설 진설하는 동안 시립한 교육생 진설에 대한 설명 설명하시는 예절선생님 신주 출주행차 제수 진설이 끝난 제사상 참배자 자리로 참배하고자 도열한 남녀교육생 사당.. 삶의 지혜와 지식 2011.02.06
나이를 나타내는 한자 ---농경(弄璟) : 예전에는 아들을 낳으면 구슬[璟]장난감을 주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유래한 말이고 아들을 낳은 경사를 농경지경(弄璟之慶)이라고 합니다. ---농와(弄瓦) : 마찬가지로 딸을 낳으면 실패(瓦)장난감을 주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딸을 낳은 경사를 농외지경(弄瓦之 慶)이라고 합니다. ---2~3세.. 삶의 지혜와 지식 2011.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