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이오 한국동란이 발발한지 어언 61년-
두번다시 기억하기도 싫지만,여기에 실린 사진들은 불과 반세기전 우리의 自畵像이었습니다.
지긋지긋한 가난과 피비린내는 살육의 현장들이 그 때는, 그리 대수로운 일도 아니었습니다.
이러한 처참한 몰골로 야생초처럼 끈질게 견뎌온 모진 생명들...불과 반세기가 흐른 지금, 우리는 너무 빨리 이 아프고도 소중한 기억들을 까맣게 망각하면서 살고 있지는 않은지요??
이 사진들은 알바니아 태생으로 1,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고,
한국전쟁을 취재한 미국의 저명한 사진가 디미트리 보리아
(1902~1990)가 駐日 美극동사령부 사진반에서 일할 때 한반도 각지를 돌며 촬영한 것이다.
![](http://home.megapass.co.kr/~earry/hd/img8/xxx2.jpg)
▶전쟁은 체면이나 양심, 도덕률. 이런 것과는 거리가 먼 곳에 존재한다.
유치원에 다녀야 할 나이의 어린이가 깡통을 들고 거리에 나가 낯선 얼굴들에게 손바닥을 벌려야 했다.
![](http://home.megapass.co.kr/~earry/hd/img8/xxx4.jpg)
▶나무뿌리라도 먹어야 산다.
아이를 업은 소녀의 손에 쥐어진 나무뿌리는 가족의 한 끼 식사일까,
▶추위와 배고픔에 지친어린 형제가 골목에서 해바라기를 하고 있다.
▶ 전란통에 용케도 살아남은 이 소년 소녀들은 시민혁명과 쿠데타, 군사독재와 경제기적의 한복판을 질풍 노도처럼 관통하여
"의지의 한국인"을 세계에 알리는 주역이 되었다.
▶ 부모님은 피난통에 돌아가시고, 살던 집은 폭격으로 다 부서져 폐허가 된 터에 어린 소년이 버려진 채 눈물을 훔치고 있다. 고난의 1950 년대를 몸으로 때우며 살아온 이 민족의 처절한 단면이다.
![](http://home.megapass.co.kr/~earry/hd/img8/xxx8.jpg)
▶ 찬 이슬을 피할 수 있는 곳이라면 헛간이라도 좋았다.
행색은 초라해도 카메라를 강하게 의식하는 이 초롱초롱한 눈매의 자매들은 지금쯤 어떤 모습이 되어 있을까?
▶개털모자에 항공모함같은 헝겊 군화, 곳곳을 기운 이 복장이
1950년대 유년시절을 보냈던 대부분 한국인의 자화상이었다.
▶ 추위만 이길 수 있다면 누더기가 다 된 솜바지라도 좋다.
▶ 판자로 얼기설기 엮어 지은 2층 건물 곳곳에 피난민이 바글대고 있다.
고함 한번 치면 풀썩 주저앉을 듯 위태로운 건물 모습이
위기에 처한 조국의 모습을 상징하는 듯하다.
▶ 엄동설한 추위를 피하기 위한 땔감도 넉넉지 못했던 시대에 두 소년이
끌고 가는 수레에는 한 식구의 온기를 담보하는 행복이 실려있는 듯하다.
▶ 태평양을 건너온 미군복을 얻어 입는 것이 가장 큰 행복이던 시절이었다.
간혹 마음씨 좋은 미군 아저씨를 만나면 미국으로 입양되는 행운을 얻기도 했다.
▶ 연을 들고 포즈를 취한 소년들. 전쟁의 傷痕(상흔)을 잠시 잊은 듯 하다.
▶ 추위와 배고픔에 지친 한 아이가 탈진 했는지 기둥에 머리를 기대고 있다.
▶미군 병사가 한 소년을 목욕 시키고 있다. 카메라를 들이대자 잔뜩 겁을 먹고 얼굴 표정이 굳어 있다.
▶ 노인의 긴 담뱃대를 고개를 외로 꺽고 바라보는 소년과,
소년이 손에 쥔 깡통 속을 바라보는 노인.
▶ 봇짐을 등에 진 할아버지와 망태기를 손에 든 손녀.
![](https://t1.daumcdn.net/cfile/blog/134641584E0A839A25)
▶ 피난을 가는 일가족 모습.
지게에 가재도구를 싣고수백리 길을 걸어서 피난을 떠나야 했다.
▶ 길가에 앉아 참외 등을 팔고 있는 아낙들.
![](http://home.megapass.co.kr/~earry/hd/img8/xxx27.jpg)
▶ 젊은이들이 가질 수 있었던 유일한 직업 날품팔이.
한 지게꾼이 피로에 지친 모습으로 길가에서 잠자고 있다.
▶ 황량한 벌판을 배경으로 포즈를 취한 어린이.
담요 한 장으로 매서운 추위를 견더낼 수 있을까 ?
<포로수용소-거제도>
![](http://home.megapass.co.kr/~earry/hd/img8/xxx30.jpg) ▶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똥통을 운반하고 있는 공산군 포로들.
![](http://home.megapass.co.kr/~earry/hd/img8/xxx32.jpg) ▶ 인민군 포로들의 숙소.
![](http://home.megapass.co.kr/~earry/hd/img8/xxx33.jpg) ▶ 수용소에서 공산군 포로들이 목욕을 하고 있다.
![](http://home.megapass.co.kr/~earry/hd/img8/xxx34.jpg) ▶ 거제도 포로수용소의 취사장.
▶ 무장 경비병에 둘러싸인 체 뭔가 지시사항을 듣고 있는 인민군 포로들.
![](http://home.megapass.co.kr/~earry/hd/img8/xxx41.jpg) ▶ 수용소 연병장에 모여 앉아 망중한을 즐기는 포로들.
![](http://home.megapass.co.kr/~earry/hd/img8/xxx42.jpg) ▶ 포로수용소 경비병이 인민군 포로들로부터 압수한
철조망을 뜯어 만든 사제 무기와 도끼,칼 등을 들고 있다.
![](http://home.megapass.co.kr/~earry/hd/img8/xxx45.jpg) ▶ 태극기를 들고 공산당 격퇴를 환영하는 마을 주민들.
![](http://home.megapass.co.kr/~earry/hd/img8/xxx46.jpg)
삶과 죽음이 무시로 교차하는 전쟁에서 운이 좋은 사람들은 살아나고,
운이 다한 사람들은 한 점 흙으로 돌아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