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미술관

혜원풍속도첩 (蕙園風俗圖帖) <신윤복[申潤福]>

덕여 (悳汝) 2011. 8. 25. 16:36

 

 

혜원풍속도첩 (蕙園風俗圖帖)  <신윤복[申潤福]>

  조선 후기의 화가인 혜원 신윤복(1758∼?)이 그린 <단오풍정>, <월하정인> 등 연작 풍속화 30여점이 들어있는 화첩으로 가로 28㎝, 세로 35㎝이다. 아버지 신한평의 뒤를 이어 한때 도화서의 화원이기도 하였던 신윤복은 참신한 색채가 돋보이는 산수화를 남기기도 하였지만, 특히 풍속화에서 그만의 독특한 경지를 나타내고 있다.

 

  혜원풍속도는 주로 한량과 기녀를 중심으로 한 남녀간의 애정과 낭만,양반사회의 풍류를 다루었는데, 가늘고 섬세한 부드러운 필선과 아름다운 색채가 세련되고 낭만적인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등장인물들을 갸름한 얼굴에 눈꼬리가 올라가게 표현하여 다소 선정적인 느낌이 들며, 분위기를 살리기위해 주위의 배경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점이 돋보인다. 대부분의 작품에 짤막한 글과 함께 낙관이 있지만 연대를 밝히지 않아 그의 화풍의 변천과정은 알 수 없다.

  이 화첩은 일본으로 유출된 것을 1930년 전형필이 구입하여 새로 틀을 짜고 오세창이 발문을 썻다. 미술작품으로서 뿐만 아니라 18세기 말 당시 사회상의 일면을 담고 있어 생활사와 복식사 연구에 귀중한 작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 도첩은 정부에서 국보 제 135호로 지정하였다. 
  현재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간송
미술관에서 보유하고 있다.

 


  *쌍검대무(雙劍對舞)
양손에 칼을 들고 대작하여 춤을 추다 두 명의 기생이
검무를 추고 있다.

 

 

  *상춘야흥 (賞春野興)

무르익은 봄날의 들판에서 여흥을 즐기다 후원에서 악기를 연주회를 하고 있다. 

 

 

   *청금상련 (廳琴賞蓮), 혹은 연당야유 (蓮塘野遊) 
관청에는 거문고 소리가 울리고, 연꽃은 칭찬할 만하다.
좌상에는 손님이 항상 가득 차 있고, 술단지에는 술이 비지 않는다

 

 

  *주유청강 (舟遊淸江)   맑은 강 위에서 뱃놀이를 하다 
피리소리는 바람을 타서 아니 들리는데, 흰갈매기가 물결 앞에 날아든다

 

 

  *납량만흥 (納凉漫興)   피서지에서 흥이 무르익다  산에서 기생과 가무를 즐기고 있다.

 

 

  *쌍육삼매(雙六三昧)   쌍육놀이에 푹 빠지다 

 

 

  *임하투호(林下投壺)   수풀 아래서 투호놀이를 하다

 

 

  *기방무사 (妓房無事)  기방 안에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청루소일(靑樓消日)  청루에서 시간을 보내다

 

 

 

    *홍루대주 (紅樓待酒)   홍루(주막, 술집)에서 술이 나오길 기다리다


 

  *주사거배 (酒肆擧盃) 술판이 벌어지고, 잔을 들어올리다

 

 

  *유곽쟁웅 (遊廓爭雄)    유곽에서 싸움이 벌어지다

 

 

  *단오풍정 (端午風情)   단오날 그네를 타고 냇가에서 몸을 씻다.

 

 

  *계변가화 (溪邊街話) 시냇가의 이야기

 

 

 *정변야화 (井邊夜話)  야심한 밤 우물가에서 수다를 떨다

 

 

  *노상탁발 (路上托鉢) 중이 길 위에서 시주를 청하다

 

 

  *표모봉심 (漂母逢尋)  세탁하는 여인이 찾아온 이들을 만나다

 

 

  *무녀신무 (巫女神舞)  무당이 신들린 춤을 추다

 

 

  *연소답청 (年少踏靑)   젊은이들의 봄 나들이

 

 

  *휴기답풍 (携妓踏楓)   기녀를 태우고, 단풍을 밟고 지나간다

 

 

  *문종심사(聞鍾尋寺)   종소리를 듣고서 절을 찾아가다

 

 

  *이승영기(尼僧迎妓) 비구니가 기녀를 맞이하다

 

 

  *노중상봉(路中相逢)   길을 가다가 중도에서 만나다

 

 

  *춘색만원 (春色滿園)  봄기운이 온곳에 만연하다

 

 

  *소년전홍 (少年剪紅)  젊은이가 진달래꽃을 꺽는구나

 

 

  *월하정인(月下情人)  달 아래에서의 두 연인

 

 

  *월야밀회 (月夜密會)   달이 뜬 야밤에 몰래한 만남

 

 

  *야금모행(夜禁冒行)   심야에 금지된 비밀 나들이

 

 

  *이부탐춘 (嫠婦耽春)   과부가 색을 탐한다

 

 

  *삼추가연(三秋佳緣)  세명이 가을에 맺은 아름다운 인연

 

받은글